게시판/자유·일상

모방하는 기술

분양사업부 2015. 1. 18. 14:33

 

3~4살 어린애들은 보면 항상 따라 하려고 하는 본능이 있다.

그래서 배우는 익히는 건지는 모르겠으나?

어렸을 때 부터 부모가 하는 행동 언어 등 엄마/아빠의 행동을

모방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.

그래서 아빠/엄마는 애들 앞에서는 행동이 언어를 조심해야 한다고 한다.

인간의 모방을 통해서 배워가고 성장하는 것 같다.

인간의 기본이 먹고 자고 싸고 그런 것이 모두 인간의 본능 즉 모방을 통해서

배우는 것 아닌가? 한다.

담배2

벤처 마케팅을 통해서 잘 만하면 큰돈을 벌고

하나의 기업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.

중국의 경우는 모든 제품을 모방한다. "슈퍼차이나"

모방의 대 제국이 중국이지만 이걸 단순히 생각할 문제는 아니다..

하나의 벤처 마케팅의 하나로써

하나의 기업이 만들어지고 하나의 거대 국가를 만들 수 있는 하나의 발판이기 때문이다.

kBS 반영한 조만간 중국이 미국을 따라 잡을 수 있다?

당장은 아니겠지만 중국의 모방하는 기술은 근본이 인간이 처음부터 배워온

근본이기에 향후 10년이든 50년이든 따라 잡을 수 있는 기술을

반드시 모방할 것이다.

현재 중국은 애풀사 핸드폰이나 폭스바겐등 다양하게 모방의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.

엄밀히 말하면 카피 /복제라고 말할 수 있지만.

서서히 하나하나 잠식을 하면서 인정을 받으려고 한다.

사실 내 물건이면 당연히 복제했다고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

우리는 어렸을 때 부터 그렇게 본능적으로 습득을 해온 본능이라고 말 수 있다.

중국의 복제/카피 본능적인 부분을 이야기 대한 부분에서는 맞다.

하지만 복제/카피 그 회사의 기술력을 훔친 거나 다름없는 도둑질인 것 인정해야 한자

정당하게 라이센스 계약과 그에 대한 로열티를 지불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규약이다.

평화

삼섬이든 애풀이는 다른 회사의 제품을 벤처마케팅을 해서 각자의 제품을

만들어 기업이 만들어진 건 사실입니다.

 

 

 

향후 중국이라는 모방하는 기술은 단순히 카피/복제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.

우리가 그걸 논할 때 서서히 자기 합리화를 통해서

반드시 인정받으려고 하며

서서히 삼성이든 애풀이든 BMW든 서서히 중국에 녹아 들어갈 날이 올지도 모른다.

 

 

 

'게시판 > 자유·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마트진열음식전략  (0) 2015.01.21
다수의 구경꾼들  (0) 2015.01.19
초기 대응자세  (0) 2015.01.17
어린집 유아 폭행  (0) 2015.01.14
의상에 복종하다  (0) 2015.01.13